페이징 개념 페이징은 프로세스를 페이지 라고 불리는 고정 크기로 나눈다. 물리 메모리 또한 페이지와 같은 크기인 프레임 으로 분할하여, 프로세스의 각 페이지를 물리 메모리의 프레임에 할당한다. 페이징 기법은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페이지 크기로 자르기 때문에, 페이지의 경계를 고려하지 않고 코드 데이터 힙을 연이어 배치한다. 하지만 실제 운영체제에서는 코드,데이터,힙을 쉽게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와 힙 영역이 서로 다른 페이지에서 시작되도록 배치한다. 페이지의 경계를 고려하지 않는다는게 무슨 말일까? 아래에서 예시를 통해 이해해보자. 페이지 크기는 4KB이고, 프로그램의 논리 주소 공간은 10KB라고 하자. 그리고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고 해보자. 코드: 5KB데이터: 3KB힙: 2KB..